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 https 사설 인증서를 적용하는 방법

다른 경로를 안내하는 서버

HLS PUSH는 https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인증서를 통해 서버의 진위여부를 확인한다. 파이썬을 이용해 사설 인증서를 생성하고,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 적용해 HLS PUSH 스트림 데이터를 PushCap 개발 서버에서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트랜스코더의 숨겨진 옵션

서버의 숨겨진 내부모습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트랜스코더 UI에서 보이지 않는, 숨은 설정들을 공개한다. xml 파일을 직접 수정해 주면, CBR, CQT, VBR, VBV, I-Frame, B-Frame, P-Frame 등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숨겨져 있는 옵션들의 목록과, 이를 mainconcept SDK와 비교해 본다.

와우자 트랜스코더 CBR 버그, 한달간의 추적과 공식버그 등록

와우자 서버와 CBR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트랜스코더 CBR 모드의 버그를 찾아 공식 이슈 목록(ENG-2346)에 올리기까지의 1개월간의 기록과, 와우자에서 공개하지 않고있던 수정 가능한 VBR 추가 옵션들에 대해 설명한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서 유튜브 HLS 라이브 스트리밍을 구현하는 HLStoYTB 모듈 사용 방법

HLS PUSH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서도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에 RTMP 대신 HLS를 사용할 수 있다.
유튜브용 HLS PUSH 모듈인 HLStoYTB 모듈 사용 방법과, 이를 이용해 안정적인 HLS 라이브 스트리밍 송출을 구현하고 서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한 필수 장비 : 안정적인 회선

KT와 SK의 회선 비교

라이브 스트리밍에 있어 회선의 품질은 방송뿐 아니라 장비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KT와 SK의 인터넷 회선 비교를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을 유튜브등의 플랫폼에 연동할때 회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 및, 회선 선택시 고려해야할 3가지 사항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