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MP vs HLS, 내게 적합한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은?

RTMP와 HLS의 차이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은 RTMP와 HLS를 모두 지원한다. 두 송출 방식의 지연시간, 안정성, 사용 환경등,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콘텐츠에 가장 적합한 라이브 스트리밍 송출 방식을 선택하는데 고려해야 할 기준을 4가지를 정리해, 안정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라이브 방송 채널 생성 및 플랫폼 스트림 연동 방법의 예 – 가비아 동영상호스팅

가비아

라이브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배포하기 위해서는 규모에 따라 동영상 플랫폼이나 CDN을 이용해야 한다. CDN 서비스를 사용하는데에 있어 고려해야 할 5가지 항목에 대해 알아보고, 가비아의 동영상호스팅 서비스(smartucc.kr)를 이용해 라이브 방송 채널을 생성하고, 라이브 스트림을 연동시켜, 가비아 CDN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스크린 샷과 함께 안내한다.

라이브 스트림 멀티 플랫폼 동시 RTMP PUSH 송출 :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Stream Target 설정법

똑같은 그림을 따라 그리기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의 수익이 여러 플랫폼을 통해 많은 시청자를 확보할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은 시장 분석기관들의 리포트가 아니어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통계에 따르면, 동영상 플랫폼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하나의 라이브 스트림을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송출하고자 하는 수요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Wowza Streaming Engine, 이하 와우자 엔진)을 사용하면 매우 손쉽게 복수의 다중 플랫폼으로 라이브 스트림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와우자 엔진을 RTMP PUSH 타겟에 연동하는 방법과, 복수의 멀티 플랫폼을 타겟으로 동시에 다중 송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와우자 라이브 소스 중계 가이드 : 라이브리피터를 이용한 RTMP PULL 중계 재전송

서버 이어달리기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서 외부의 RTMP 스트림 소스를 수신해 재전송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캐스터의 타입을 라이브리피터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RTMP PULL 소스 연동 방법과, 이를 이용해 무중단으로 방송송출 시설을 이전한 실제 사례를 나누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