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기본 영상 스케일링 방식과 시청자 경험

Anamorphic

네트워크 상황과 기기 해상도에 따라 콘텐츠의 해상도와 비율을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전략은 시청 경험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아나몰픽(Anamorphic), 레터박스(Letterbox), 크롭(Crop)의 차이를 비교하고, 잘못된 화면 비율이 시청자에게 어떤 악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본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트랜스코더의 구조와 기본 동작 방법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은 트랜스코더의 기능을 트랜스코딩(transcoding)과 트랜스레이팅(transrating)으로 구분하고 있다. 와우자 트랜스코더가 동작하는 방법과, 동작을 정의하는 템플릿과 프리셋에 대해 알아보고, 트랜스코딩이란 무엇인지와 제한 사항에 대해 살펴본다.

라이브 스트리밍 저작권 보호: OTT 블라인드 처리의 개념과 5가지 구현 방법

화면을 가리는 서버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에서 권한 없는 콘텐츠의 송출은 채널의 존폐여부에 직접 영향을 준다. 때문에 저작권 없는 콘텐츠를 블라인드 처리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를 응용해 채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블라인드 서비스의 개념과 유형, 각 유형별 장단점을 소개하고 구축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정리해 본다.

라이브 방송 채널 생성 및 플랫폼 스트림 연동 방법의 예 – 가비아 동영상호스팅

가비아

라이브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배포하기 위해서는 규모에 따라 동영상 플랫폼이나 CDN을 이용해야 한다. CDN 서비스를 사용하는데에 있어 고려해야 할 5가지 항목에 대해 알아보고, 가비아의 동영상호스팅 서비스(smartucc.kr)를 이용해 라이브 방송 채널을 생성하고, 라이브 스트림을 연동시켜, 가비아 CDN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스크린 샷과 함께 안내한다.

라이브 스트림 멀티 플랫폼 동시 RTMP PUSH 송출 :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Stream Target 설정법

똑같은 그림을 따라 그리기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의 수익이 여러 플랫폼을 통해 많은 시청자를 확보할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은 시장 분석기관들의 리포트가 아니어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통계에 따르면, 동영상 플랫폼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하나의 라이브 스트림을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송출하고자 하는 수요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Wowza Streaming Engine, 이하 와우자 엔진)을 사용하면 매우 손쉽게 복수의 다중 플랫폼으로 라이브 스트림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와우자 엔진을 RTMP PUSH 타겟에 연동하는 방법과, 복수의 멀티 플랫폼을 타겟으로 동시에 다중 송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