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중단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한 필러 자동 절체 : 와우자 ModuleLoopUntilLive

끊어진 필름을 이어 붙이기

라이브 스트리밍 채널에도 방송 사고 대비를 위한 대체 필러(Filler)가 필요한 이유 3가지.
자동 필러 절체를 통해 끊김 없는 안정성을 확보해 서비스 중단 없는 채널 완성도를 높이는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ModuleLoopUntilLive모듈 사용 방법

와우자 StreamPublisher: 파일과 스케줄로 라이브 OTT 채널 만들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서버

복잡한 방송 시스템, OBS같은 프로그램, 실시간 카매라가 없이도 라이브 OTT 채널 송출이 가능하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의 StreamPublisher, HTTP Provider, Server Listener 조합으로 동영상 파일과 스케줄을 이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구현 방법과 주의사항, 라이브스트리밍 채널의 저작권에 대해 생각해 본다.

트랜스코드 vs 트랜스레이트 vs 트랜스먹스 차이점 :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트랜스코드 트랜스레이트 트랜스먹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Wowza Streaming Engine, 이하 와우자)의 트랜스코드(Transcode), 트랜스레이트(Transrate), 트랜스먹스(Transmux)는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스트리밍 서비스 구성에서 각기 다른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코덱, PMT, PAT, PCR과 함께 이 세가지 용어의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와우자 엔진: ModuleDuplicateStreams로 동일 서버 내 어플리케이션 간 스트림 공유

테잎을 복사하는 서버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내부에서 어플리케이션 간에 스트림을 복제하고 공유하는 것은 단순히 주소만 입력한다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ModuleDuplicateStreams 모듈을 이용해 와우자 라이브 어플리케이션간 스트림을 공유하면, 스트림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가능해 진다.

파일 자동 반복 재생 24시간 라이브 스트림 생성 방법 : 와우자 서버 리스너 사용

홀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서버

미디어 파일을 기반으로 라이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은 OBS같이 무거운 프로그램이 없어도 가능하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 업로드한 파일의 재생 목록을 만들고, 서버 리스너(ServerListener) 클래스를 이용해 24시간 무한 반복하는 라이브 스트림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