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비안 리눅스 설치 후 필수 설정 3 – 절전모드 해제
데비안 리눅스 서버 설치 후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필수 설정 세번째, 절전모드 진입을 해제하는 방법과 4가지 절전모드 sleep, suspend, hibernate, hybrid에 대해 설명한다.
데비안 리눅스에도 절전모드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 설정이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이 절전 모드 설정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데스크탑 환경 일 경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절감 기조에 동참하는 것은 매우 훌륭한 일이겠으나, 돌리던 서버가 꺼지면 매우 곤란하다. 더군다나 솔직히, 리눅스 시스템은 키보드, 마우스 다 뽑고 구석에 처박아 두고 쓰는 경우가 많지 않은가? 절전모드 사용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잠도 자지 못하고 열심히 일하도록 굴려보자.
리눅스 시스템의 절전모드 종류
리눅스 시스템의 절전 관련 동작은 부팅될 때, PC 내에 존재하는 기능들의 사용 설정을 관리하는 systemd
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이벤트는 target
으로 관리되는데, 절전과 관련된 것은 대략 4개 정도 있다.sleep.target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끄기와 비슷한 상태이다. 컴퓨터와 모니터를 저전력 상태로 유지한다.suspend.target윈도우의 절전모드와 유사한 상태다. 현재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컴퓨터와 모니터를 저전력 상태로 유지한다. 단,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는 날아간다.hibernate.target윈도우의 최대절전모드와 유사한 상태로, 현재의 상태를 디스크에 저장한다. 완전히 전원 케이블을 뽑아도 상관없으며, 컴퓨터 전원을 켜면 디스크에 저장된 마지막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단,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들이 있을 수 있다.hybrid-sleep.target하이버네이트와 서스펜드 모드를 동시에 적용한다.
절전모드 해제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위에 나와 있는 이벤트를 모두 죽이면 된다. 위에 나와 있는 target
을 모두 무시하도록 systemctl 명령을 입력해 준다.sudo systemctl mask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이렇게 입력하면 해당 이벤트가 MASK
(마스크) 처리되어, 절전 관련 기능들이 동작하지 않게 된다.
newuser@debian:~$ sudo systemctl mask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sleep.target → /dev/null.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suspend.target → /dev/null.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hibernate.target → /dev/null.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hybrid-sleep.target → /dev/null.
실제로 마스킹되었는지 status
옵션으로 target
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newuser@debian:~$ sudo systemctl status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 sleep.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sleep.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 suspend.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suspend.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 hibernate.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hibernate.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 hybrid-sleep.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hybrid-sleep.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newuser@debian:~$
모두 Active
항목이 inactive
로 표시되고 있다. 이제 컴퓨터 꺼질 걱정은 안 해도 되겠다. 열심히 부려먹어 보자!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데비안 리눅스 역시 설치한 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설정들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필자 생각으로는) 세 번째로 해줘야 하는 설정인, 절전 모드 진입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데비안 리눅스에도 절전모드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 설정이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이 절전 모드 설정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데스크탑 환경 일 경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절감 기조에 동참하는 것은 매우 훌륭한 일이겠으나, 돌리던 서버가 꺼지면 매우 곤란하다. 더군다나 솔직히, 리눅스 시스템은 키보드, 마우스 다 뽑고 구석에 처박아 두고 쓰는 경우가 많지 않은가? 절전모드 사용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잠도 자지 못하고 열심히 일하도록 굴려보자.
리눅스 시스템의 절전모드 종류
리눅스 시스템의 절전 관련 동작은 부팅될 때, PC 내에 존재하는 기능들의 사용 설정을 관리하는 systemd
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이벤트는 target
으로 관리되는데, 절전과 관련된 것은 대략 4개 정도 있다.
- sleep.target
-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끄기와 비슷한 상태이다. 컴퓨터와 모니터를 저전력 상태로 유지한다.
- suspend.target
- 윈도우의 절전모드와 유사한 상태다. 현재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컴퓨터와 모니터를 저전력 상태로 유지한다. 단,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는 날아간다.
- hibernate.target
- 윈도우의 최대절전모드와 유사한 상태로, 현재의 상태를 디스크에 저장한다. 완전히 전원 케이블을 뽑아도 상관없으며, 컴퓨터 전원을 켜면 디스크에 저장된 마지막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단,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들이 있을 수 있다.
- hybrid-sleep.target
- 하이버네이트와 서스펜드 모드를 동시에 적용한다.
절전모드 해제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위에 나와 있는 이벤트를 모두 죽이면 된다. 위에 나와 있는 target
을 모두 무시하도록 systemctl 명령을 입력해 준다.
이렇게 입력하면 해당 이벤트가 MASK
(마스크) 처리되어, 절전 관련 기능들이 동작하지 않게 된다.
newuser@debian:~$ sudo systemctl mask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sleep.target → /dev/null.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suspend.target → /dev/null.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hibernate.target → /dev/null.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hybrid-sleep.target → /dev/null.
실제로 마스킹되었는지 status
옵션으로 target
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newuser@debian:~$ sudo systemctl status sleep.target suspend.target hibernate.target hybrid-sleep.target ○ sleep.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sleep.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 suspend.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suspend.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 hibernate.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hibernate.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 hybrid-sleep.target Loaded: masked (Reason: Unit hybrid-sleep.target is masked.) Active: inactive (dead) newuser@debian:~$
모두 Active
항목이 inactive
로 표시되고 있다. 이제 컴퓨터 꺼질 걱정은 안 해도 되겠다. 열심히 부려먹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