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 윈도우 vs 리눅스 OS 선택 가이드

Last modified date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은 윈도우보다 리눅스 환경에서 운영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다. 여기에는 흔히 알려진 OS별 특성 외에도 2가지 이유가 더 존재한다.

중앙 와우자 모자를 쓴 여성에게 리눅스와 윈도우 모자를 쓴 두 남성이 서로 꽃을 선물하고 있다.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 Copilot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이하 와우자)이 지원하는 OS는 윈도우, 리눅스, 맥OS의 세가지가 있다. 세 OS 모두 일반적인 와우자의 기능을 사용하는데에 있어 큰 차이는 없다.

하지만 맥OS의 경우 일반적으로 프로덕션 환경 보다는 테스트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결정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프로토콜도 있다. 결국 운영자는 윈도우와 리눅스 중 하나를 선택해 와우자 서비스를 구축하게 된다.

사실, 윈도우와 리눅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하더라도 와우자의 운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필자는 윈도우와 리눅스를 떠나, 우선 운영자의 손에 익은 OS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선택이라 생각한다. 문제해결과 유지보수 진행에 있어, 익숙한 운영 체제 환경에서 진행하는 것이 여러모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가지 특정한 상황에서는 윈도우 기반인지, 리눅스 기반인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제한과, 생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생긴다. 그 중 하나는 와우자에서 공식적으로 안내하고 있는 것이며, 나머지 하나는 필자의 경험에 바탕 한 것이다.

1. 하드웨어 트랜스코딩 지원

와우자는 트랜스코딩에 걸리는 지연시간을 최소화 하고, CPU의 부하를 줄여 서버 자체의 전반적인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트랜스코딩 기능을 지원한다.

하드웨어 트랜스코딩은 별도의 가속용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NVIDIA의 CUDA 프로세서가 내장된 상용 VGA 보드를 구매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NVIDIA의 CUDA프로세서가 탑재된 하드웨어의 경우, 윈도우와 리눅스 환경 모두 하드웨어 가속 트랜스코딩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가속용 하드웨어의 경우, 윈도우 환경의 와우자 서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와우자에서는 아래의 두 가속용 하드웨어의 경우 리눅스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

사실, 두 제품 모두 일반 사용자가 쉽게 구해서 사용할 만한 보드들은 아니다. 그래픽 출력기능 따위는 없이, 오로지 하드웨어 연산 기능만을 수행하는 카드이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를 위해 랙타입 서버에 장착하거나, 대규모의 트랜스코딩 또는 고해상도 트랜스코딩 작업이 필요하다면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다. 이런 하드웨어들을 사용해 와우자에서 하드웨어 트랜스코딩을 구현해야 할 경우, 리눅스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2. 언인스톨러

필자는 약 15년 동안 와우자 서버를 운영해 오면서 수십번 이상의 설치와 삭제를 경험해 보았다. 신기한 것은, 그 많은 설치 삭제 과정을 진행하면서, 윈도우의 언인스톨러를 통해 와우자를 제거하는데에 단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윈도우 버전과 종류에 상관 없이 언인스톨러를 통해 삭제를 진행할 경우 예외없이 실패했으며, 윈도우에 설치한 와우자를 삭제하려면 윈도우 전체를 포맷한 후 재설치 하는 방법 뿐이었다.

필자의 설치 방법이 잘못된건가? 혹은 삭제 방법이 잘못된건가? 너무나도 궁금해 한 번은 각 잡고 와우자에도 문의를 해 보았으나, 최종 답변은

… having difficulties uninstalling the Wowza Streaming Engine has not been brought up by any of our customers …
(한마디로) 왜 너만 난리야?
– Wowza Support

그리고 와우자에서 수동으로 직접 삭제하는 절차를 보내 주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물론, 이 문제는 본 필자에게만 발생한 경우일 수 있겠다. 또한, 한번 설치하면 삭제할 일이 없을텐데 무슨 상관이 있는가 싶은 생각도 들 것이다.

하지만 언인스톨러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은, 설치가 의도한 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의미이고 다시 말해, 향후 업데이트 진행시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며, 잘못된 설치를 수정하는게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와 반대로, 리눅스에서는 언제나 명령어 한 줄로 깔끔하게 삭제가 진행 되었다.

결론

와우자를 실행하는 OS는 와우자 서비스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일단은, 운영자에게 익숙한 OS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하지만, OS에 따른 기능의 제한과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윈도우와 리눅스 둘 다 운영에 문제가 없을 경우, 윈도우가 아닌 리눅스를 선택 하는 편이 더 나은 선택이 될 것이라 필자는 생각한다.

Since 2005, He has generated new value by converging tradition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ICT. From Headend and Frontend to the Last Mile device, He possess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entire broadcast syste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os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