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VOD 지원 파일 형식과 프리픽스 사용 이유

Last modified date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은 MP4, FLV, MP3 등의 콘텐츠 파일을 VOD 및 AOD 스트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SMIL, MP4, FLV, MP3, ID3 등의 프리픽스(Prefix)를 통해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스트리밍 하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Wowza Streaming Engine, 이하 와우자)은 외부의 실시간 라이브 스트림을 입력받아 변환해 배포하는 것 이외에도, 저장된 콘텐츠 파일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또는 AOD(Audio On Demand, 주문형 오디오) 서버 (이하 VOD)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와우자 시스템의 특정한 디렉토리 내에 업로드하고, 적당한 방법을 통해 스트리밍 시켜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와우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형식과 그 콘텐츠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와우자가 지원하는 파일 형식

와우자가 파일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와우자는 콘텐츠 파일을 VOD로 제공할 때 트랜스코딩 없이 패키징해 스트리밍한다.

물론, 트랜스코딩을 걸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사전에 트랜스코딩해 적재한 콘텐츠를 스트리밍만 하는 것에 비해 서버 자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포맷의 콘텐츠만 VOD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포맷들 중 자주 사용되는 것들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MP4 비디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식으로, 와우자의 기본 포맷이다.
코덱 : H.264/AVC, AAC, MP3
확장자 : .MP4, .F4V, .MOV, .M4V, .MP4A, .MP4V, .3GP, .3G2
MP3 오디오
호환성이 뛰어난 대표적인 오디오 포맷이다. 오디오 전용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확장자 : .MP3
SMIL 파일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라고 불리는 멀티트랙 스트림을 묶은 XML기반 메타파일
적응 비트레이트 스트리밍을 구성하거나, 콘텐츠 파일의 재생목록(Play List)를 만드는데 사용
확장자 : .SMIL

이 파일들을 와우자 시스템의 콘텐츠 디렉토리에 넣어두면, 외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스트림 형태로 제공해줄 수 있다. 콘텐츠 디렉토리의 기본 경로는 다음과 같다

윈도우 : C:\Program Files\Wowza Media Systems\Wowza Streaming Engine\content
리눅스 : /usr/local/WowzaStreamingEngine/content

prefix

미디어 파일은 그 표준이 존재하지만 제작도구에 따라 각각의 특성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콘텐츠 파일을 요청하는 것 만으로는 아래와 같은 문제들이 생길 수 있다.

  • 콘텐츠 포맷 감지 실패로 재생 오류
  • 콘텐츠 포맷 분석으로 인한 지연시간
  • 콘텐츠 제작도구 특성에 따른 파일 인식 실패
  • 콘텐츠 분석 실패로 스트림 재생 불가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와우자에게 해당 콘텐츠를 어떻게 처리하라 명확히 알려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바로 프리픽스(prefix)이며, 아래의 예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 한다.

http://[서버주소]:1935/어쩌구/저쩌구/smil:playlist.smil/playlist.m3u8
http://[서버주소]:1935/어쩌구/저쩌구/mp4:sample.mp4/playlist.m3u8

위의 예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콘텐츠 파일앞에 해당 파일에 적합한 프리픽스를 붙여준다. 와우자에서 자주 사용하는 프리픽스는 다음과 같다.

mp4
MP4 계열 파일에 사용하며, 프리픽스가 생략되면 기본값으로 적용된다.
mp3
MPEG-1/2 Audio Layer III 표준 MP3 오디오
smil
스트림 구성 또는 재생목록.
프리픽스가 없을 경우, smil은 택스트파일로 인식되어 처리되지 않는다.

재생목록을 구성했을 경우, 재생목록 파일의 내부에서도, 재생해야 할 콘텐츠 파일을 지정할 때 프리픽스를 함께 붙여주어야 한다.

결론

정확한 포맷 지정이 안정적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기본이 된다. 와우자에서 VOD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원되는 미디어 포맷을 정확히 사용하고, 해당 파일 앞에 적절한 프리픽스를 붙여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스트림 분석 오류를 방지하고, 빠르고 정확한 콘텐츠 전송이 가능해 진다.

Since 2005, He has generated new value by converging tradition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ICT. From Headend and Frontend to the Last Mile device, He possess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entire broadcast syste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os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