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을 윈도우에서 수동으로 삭제하는 방법

Last modified date

윈도우에서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을 수동으로 완전히 삭제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여느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이하 와우자)를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면 언인스톨러가 함께 생성된다. 문제는, 이 언인스톨러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때가 있다는 것이다.

윈도우에서 와우자 언인스톨러를 실행했으나 진행되지 않고 있다.
영원히 끝나지 않는 언인스톨러

물론, 와우자가 제대로 동작하지도 않는 언인스톨러를 폼으로 박아 두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본 필자는 15년 가까이 와우자를 운용해 오면서, 단 한번도 윈도우 언인스톨러가 정상 동작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때문에 한동안 본 필자의 윈도우에 설치된 와우자를 삭제하는 방법은 포맷 후 재설치 뿐 이었다. (그리고 와우자에 한해서는 윈도우 서버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방법이 없지는 않다.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하면 포맷 없이, 윈도우환경의 와우자를 깔끔하게 삭제하고 시스템을 정리할 수 있다. 귀찮고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포맷하는 것 보다 더 걸리겠는가?

윈도우 와우자 수동 삭제 절차

Step 1 : 와우자 서비스 정지

윈도우의 와우자 서비스는 아래의 두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 Wowza Streaming Engine
  • Wowza Streaming Engine Manager

먼저 이 두 서비스를 정지해 주어야 삭제를 시작할 수 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서비스를 정지해 준다.

  1. 서비스 관리자 실행: Windows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services.msc를 입력 후 엔터를 치거나, Windows 검색창에 서비스를 검색한다.
  2. 와우자 서비스 확인: 서비스 목록에서 Wowza Streaming EngineWowza Streaming Engine Manager 서비스를 확인한다.
  3. 서비스 정지: 각 서비스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중지를 선택한다.
윈도우7 서비스 목록에서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관련 서비스가 모두 정지되어 있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관련 서비스의 동작상태 확인

Step 2 : 와우자 서비스 이름 확인

서비스를 더블클릭하면 해당 서비스의 속성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등록된 서비스 이름을 확인한다. 다음 단계에서 서비스를 완전히 삭제하기 위해 각 서비스의 정확한 이름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1. 서비스 속성 확인: 서비스 관리자에서 Wowza Streaming Engine서비스를 더블 클릭한다.
  2. 서비스 이름 확인: 나타나는 속성 창의 일반 탭에서 서비스 이름 항목에 표시된 이름을 복사해 둔다.
  3. Wowza Streaming Engine Manager서비스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서비스 이름을 확인하고 복사해 둔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 관련 서비스가 등록된 이름은 WowzaStreamingEngine493+2와 WowzaStreamingEngineManager493+2 이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과 엔진 메니저의 정확한 서비스 이름을 확인한다

Step 3 : 와우자 서비스 삭제

위에서 확인한 서비스 이름을 이용해 와우자 관련 서비스를 삭제한다.

  1. 관리자 권한 콘솔 실행: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한다.
  2. 삭제 명령 입력: sc delete 명령어를 이용해 위에서 확인한 두 서비스를 삭제한다.
콘솔창에서 sc delete 명령을 통해 와우자 서비스를 삭제하는 모습.
서비스 삭제

Step 4 : 와우자 서비스 삭제 확인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삭제되었는지 다시 서비스 관리자에서 확인한다.

  1. 서비스 관리자 재실행: Step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서비스 관리자를 실행한다.
  2. 서비스 목록 확인: 서비스 목록에서 Wowza Streaming EngineWowza Streaming Engine Manager 서비스가 더 이상 보이지 않는지 확인한다.
윈도우 서비스목록에 와우자 관련 서비스가 삭제되었다.
와우자 관련 서비스가 사라졌다

Step 5 : 환경변수 삭제

윈도우에 등록되어 있는 와우자용 환경 변수들을 삭제한다.

  1. 시스템 속성 창 열기: Windows 검색창에 시스템을 입력하고 검색 결과에서 시스템(제어판)을 선택한다.
  2. 고급 시스템 설정: 시스템 창 왼쪽 메뉴에서 고급 시스템 설정을 선택한다.
  3. 환경 변수 진입: 시스템 속성 창의 고급 탭에서 환경 변수를 선택한다.
  4. 와우자 환경 변수 삭제: 시스템 변수 목록에서 아래 변수들을 찾아 각각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눌러 항목을 삭제한다.
    • WMSAPP_HOME
    • WMSCONFIG_HOME
    • WMSINSTALL_HOME
    • WMSJAVA_HOME
    • WMSMGR_HOME
윈도우의 시스템 환경변수 목록에서 와우자 관련 변수를 클릭해 삭제한다.
환경변수 삭제

Step 6 : 설치 디렉토리 삭제

와우자가 설치된 폴더를 삭제한다. 일반적으로 와우자는 C:\Program Files\Wowza Media Systems 경로에 설치 된다. 해당 디렉토리를 삭제해 준다. 만약 다른 디렉토리에 설치했다면 해당 디렉토리를 삭제해 주면 된다.

윈도우 탐색기를 통해 와우자 설치 폴더를 삭제해 준다.
설치 디렉토리 삭제

Step7 : 진실의 시간 – 재부팅

제대로 삭제 되었는지 확인 해 볼 진실의 시간. PC를 재부팅 해 본다. 와우자가 깔끔히 사라진 윈도우 시스템을 만날 수 있다!!

이 가이드에 따라 와우자를 수동으로 삭제하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언인스톨러 때문에 겪었던 불편함 없이 시스템을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제 윈도우에서도 마음 놓고 와우자를 설치하고 삭제할 수 있겠다.

Since 2005, He has generated new value by converging tradition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ICT. From Headend and Frontend to the Last Mile device, He possess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entire broadcast syste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os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