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비아 CDN 이용 동영상호스팅 서비스의 라이브 방송 스트리밍 채널 설정 방법

Last modified date

가비아의 동영상호스팅 서비스에 라이브 방송 채널을 생성, 스트림을 연동시켜, 가비아 CDN을 통해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스크린 샷과 함께 안내합니다.

가비아 동영상호스팅 서비스

가비아는 1998년 웹 호스팅 및 도메인 등록 대행 업체로 시작해, 현재는 국내 도메인 등록 대행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룹웨어, 클라우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 기업이다.

가비아의 많은 상품 중 라이브 스트리밍 및 VOD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 서비스로 동영상호스팅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는 가비아의 CDN(Content Delivery Network)를 이용해 동영상 콘텐츠 파일 또는 라이브 방송 스트림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 주며, 일부 방송사들도 이 상품을 이용해 O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가비아 동영상호스팅 서비스를 라이브 방송 스트림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통해 독자 제위는 자신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가비아의 CDN을 활용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송출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가비아 동영상호스팅 라이브 스트림 연동 절차

사전 준비

우선, 송출하고자 하는 라이브 방송 스트림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 후, 가비아의 동영상호스팅 서비스 사용 신청을 하고 계정을 발급 받아야 한다. 상세한 사항은 가비아의 영업 담당자에게 문의 하면 된다.

설정 방법

  1. 관리 페이지 접속
    웹 브라우저를 열고 관리 페이지(http://admin.smartucc.kr)에 접속한다.
    Login screen of http://admin.smartucc.kr/
  2. live 메뉴 진입 : 상단의 메뉴바에서 라이브 메뉴를 선택한다.
    Dashboard screen of the smartucc live streaming platform. The '라이브' (Live) tab is selected in the top navigation bar. On the left, a media storage usage panel shows a pie chart indicating 200GB total space with 50.45GB used and 149.55GB remaining. On the right, a bandwidth usage graph displays real-time data rates, including 10 Mbps max upload, 18 Mbps max download, and 51 Mbps max transmission. A line chart tracks current network usage over time.
  3. 기본 설정
    처음 접속한 경우, 채널 만들기 창이 나타난다. 생성할 채널 이름과 허용할 동시 접속자의 수를 입력하고 생성버튼을 클릭한다.
    Screenshot of step 1 in the live streaming channel creation process on the smartucc platform. The screen shows a form to enter a channel name and set the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viewers. The channel name field is filled with 'RAON GABIA TEST'. A warning in red indicates the limit of 1,000 viewers. A numeric input field is set to '1000' and a blue 'Create' button is shown at the bottom.
  4. RTMP 주소 생성
    생성된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확인 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한다.
    Screenshot of step 2 in a live streaming channel setup process. The screen shows RTMP and backup RTMP stream URLs provided by smartucc.kr, along with a unique stream key. Users are instructed to copy and use these URLs and the stream key in their encoder software for live broadcasting. A blue 'Confirm' button appears at the bottom.
    RTMP URL
    주 인코더의 출력을 전송할 주소
    평상시에는 이 주소의 스트림이 서비스에 사용된다.
    Backup RTMP URL
    예비 인코더의 출력을 전송할 주소
    주 인코더 출력에 문제 발생시 이 주소의 스트림으로 자동 절체된다.
    스트림 키
    채널에 할당된 고유한 스트림 키. 유출 되지 않도록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5. 채널 설정
    채널의 추가 설정 항목을 확인하고 필요한 내용을 수정한다.
    Screenshot of the channel settings page for a live streaming platform, with the message '방송 준비 중입니다' (Broadcast not started) displayed in red on a black preview screen. Below, under 'Channel Settings', the user can enter a channel name ('RAON GABIA TEST'), select screen resolution (FHD 1080p), upload a thumbnail image, and set the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viewers (set to 1000). A checkbox option for enabling password-protected viewing is also available, along with a blue 'Save' button.
  6. 설정 확인
    인코더 설정 값항목의 펼침 버튼을 클릭해 정보가 맞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 준다.
    Screenshot of the broadcast channel settings screen for the live streaming channel 'RAON GABIA TEST' on the smartucc platform. A preview area shows a black screen with red text stating 'No broadcast detected' and a message prompting the user to start broadcasting after entering encoder settings. Below, RTMP and Backup RTMP URLs are displayed for encoder configuration, along with a stream key. The channel name field is shown at the bottom with 'RAON GABIA TEST' entered.
  7. 화면 하단의 저장버튼을 눌러 설정을 종료한다.
  8. 인코더 설정
    사용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인코더나 소프트웨어의 설명을 참고하여, 생성된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입력해 준다.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에서 연동 할 경우, 와우자 스트리밍 엔진의 RTMP PUSH 설정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진실의 시간 – 상태 확인

연동을 마치고 난 후, smartucc 사이트에 접속해 라이브항목을 선택하면 생성된 채널 목록과 함께 현재 상태가 표시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방송 중입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있으면 라이브 스트림이 정상적으로 연동되어 송출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Screenshot of the channel settings page for a live streaming platform, with the message '방송 중입니다' (Broadcast ON-air) displayed on a black preview screen.

이제 이 스트림을 원하는 곳에서 사용하면 된다. 오른쪽의 퍼가기퍼블리싱플레이어 항목을 통해 외부 플랫폼이나 OTT 서비스에 사용할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주소를 사용해 원하는 OTT 서비스를 구현하면 된다.

마무리

우선 본 필자는 가비아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 글의 예시로 든 가비아의 동영상호스팅 서비스는 분명 훌륭하고 유용한 서비스이나, 독자 제위에게 더 적합하고 비용 효율적인 대안들이 널려있을 것임을 확실히 밝히고자 한다.

본 글은 가비아 동영상호스팅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함과 동시에, 라이브 스트림을 플랫폼에 연동하는 작업은 생각보다 간단하며, OTT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준비 역시 복잡하지 않다는 것을 직접 보이고자 작성 되었다.

다른 플랫폼들 역시 가비아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세상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막상 내가 알고 뚜껑을 열어보면 별 거 아닌 일인 경우가 대부분 이다. 본 글이 독자 제위의 막연한 두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게 되길 소망한다.

Since 2005, He has generated new value by converging tradition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ICT. From Headend and Frontend to the Last Mile device, He possess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entire broadcast system.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ost comment